본문 바로가기

얕고 넓은 상식은 필수

홍콩 송환법 반대 시위, 이제는 홍콩과 중국의 싸움

지난 79일 캐리 람 행정장관이 송환법의 사망을 선언했음에도 불구하고, 법안의 완전한 철회(withdraw)는 사실상 이뤄지지 않았다. , 입법회에 계류 중인 해당 법안은 언제라도 (날치기) 통과 될 수 있기 때문에 홍콩에서는 송환법의 완전 철회를 요구하는 시위가 6월 초부터 지금까지 계속되고 있다. 홍콩정부는 송환법 반대 시위대와 시민을 향해 최루탄을 쏘는 등 폭력을 통해 시위대를 강제해산시켰고 이로 인해 송환법 반대 시위는 홍콩에서 전례 없는 대규모 시위로 확산되고 있는 중이다.

 

7월 10일에 송환법 폐기 선언 관련 글을 쓸 때만 하더라도 이 송환법 이슈가 홍콩과 중국의 싸움이 아닌 미국과 중국의 싸움인 것으로 보여졌지만, 그 이후 계속된 시위의 모습을 지켜보면서 송환법 반대 시위에 대한 시각이 달라지게 되었다. 시작은 송환법 반대를 위한 것이었지만, 이제 홍콩의 시위는 송환법 철회를 넘어 중국에 대한 홍콩의 젊은 세대들의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질서 수호를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일국양제의 통치 원리가 무색하게도 일국에 방점을 두고 홍콩은 중국이라는 정책을 (점점 더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중국 정부에 대한 홍콩 시민의 ‘항인치항(홍콩은 홍콩이 다스린다)’의 저항이 송환법 반대 시위를 통해 표면화된 것이다.

 

중국 정부의 홍콩 정치 간섭의 문제뿐만이 아니라, 경제와 사회 이슈에 대한 반중국 정서도 홍콩 시위가 확산되는 원인 중에 하나라는 분석도 있다. 1997년 이후 무려 100만명이 중국 본토에서 홍콩으로 이주하면서 안 그래도 심각했던 홍콩의 주택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800억 달러를 들여 인공섬을 짓는 방안을 홍콩 정부가 검토하고 있을 정도였다. 중국 부유층의 홍콩 부동산 점유율의 높아지면서 주택 부족 및 빈부격차 등의 사회문제로 곪아있던 반중국 정서가 이번 송환법 반대 시위를 계기로 폭발했다는 분석이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 제주도를 생각해보면 고개가 저절로 끄덕여 진다).

 

장기화되고 있는 시위로 인해 홍콩의 경제가 위협받고 있고 도시가 마비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자세히 보자.

 

우산을 들고 나와 시위하고 있는 시민들 때문에 도시가 마비되고 홍콩의 경제가 흔들리는가? 송환법 반대 시위를 이용해 미·중 무역전쟁에서 자국에 유리한 실탄으로 사용하려는 세력 때문에 홍콩이 흔들리는가?

 

사실상 홍콩 시민들에게 선택의 여지가 있었을까? 눈 가리고 아웅 하는 법안의 날치기 통과를 가만히 지켜보면서 남이사 중국으로 송환되거나 말거나 나는 내 일이나 해야지 할 수 있었을까?

 

안타까운 마음으로 응원할 수밖에 없는 일이다.